고로치의 자음 ㄱㄹㅊ를 정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었습니다.

몰입과 지속

모든 순간 몰입을 하는 경험을 우리 삶에 지속적으로 쌓아감은 다른이들과 격차를 빠르게 만들기 때문에 성공하는 길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1/노트

노트는 머리 속에 있는 무형의 생각을 시각화하여 유형화 하는 작업과 같습니다. 이 노트라는 작업을 하지 않는다면 머리 속에 있는 지식이나 개념은 너무 막연하게 둥둥.. 떠다닐 수 밖에 없기에.. 내가 아는 수준이 얼마나 알고, 내가 얼마나 논리적으로 그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얼마나 알고 있는지.. 모르지만.. 직접 글로 써보면 알 수 있기도 하죠.

노트를 하다 보면 재밌는 일도 일어나는데요. 가령, 머리 속의 a에 대해서 글로 정리하다보면 그 a라는 개념이 내가 알고 있던 다른 종류의 생각, 지식 b와 접목되면서 새로운 c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경험을 하곤 하거든요. 즉, 기존에 내 머리에 있던 b 개념과 새로 입력된 a라는 개념이.. 또 다른 세계 c의 생각과 만나서.. a, b의 속성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는 일도 일어납니다. a와 b를 다른 시선으로 보는 느낌이죠. 그렇게 a라는 개념을 더 깊고 넓게 이해하는 단계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런 일이 쌓이면 쌓일수록 하나의 대상을 다른 각도로 바라보는 일이 많아지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곤 합니다.

Notes are like visualizing intangible thoughts in your head and making them tangible. If you don’t do this, the knowledge and concepts in your head will just float around in a vague circle. floating around. How much do I know, how logically do I understand the concept. how much I know. I don’t know, but I can find out by writing it down.

It’s funny what happens when you’re taking notes, for example, when you’re writing about A in your head, you experience that the concept of A is merging with other kinds of ideas, knowledge B that you know, and expanding into a new realm of C. That is, the concept of B that was already in your head, and the newly entered concept of A… meets the idea of C in another world, and you ge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of A and B. It’s like you see A and B in a different light, and you get to a stage where you have a deeper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 The more you do this, the more you look at the same thing from different angles, and it often leads to creative thinking.

(뭐 이런 류의 글들이 생각의 생각을 물고 나온 글들이죠.)
(Well, these are the kinds of posts that come out of my head).


220707 / 현상과 본질

220315 / 에너지 공급과 순환

220520 / 격차

2/노트의 목적

아무튼, 오늘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노트를 3년 간 써오면서 배운, 또 다른 깨달음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노트는 보통 학창 시절 학교에서 선생님이 시험에 나오는 거라며 무언가를 칠판에 쓰고, 그걸 공책에 필기하면서 우리는 노트를 시작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우리는.. 칠판에 쓰여진 것들을 지금 당장 이해하기는 제껴 두고 일단, 노트에 배껴쓰죠. 개념이해와 공부는 그 노트를 바탕으로 나중에 다시 하면 되니까요.

그러면서 자연스레 우리는 노트의 목적을 ‘지금 당장보다는 훗날을 위한 것’, ‘나중을 위해 지금 저장해 두는 것’ 으로만 이해된거 같습니다.

Anyway, what I want to talk about today is another realization that I’ve had after three years of taking notes.

I think we usually start taking notes when we’re in school and the teacher writes something on the board that’s going to be on the test, and we write it down in our notebooks, and that’s how we… We don’t necessarily understand what’s on the board right now, but we just write it down, because we can come back to it later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study it.

And so naturally, I think we’ve com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notes as something that’s more for the future than for now, something that we’re saving now for later.

3/ 한계

저는 대략 3년동안 노트를 하고 있는데요.. 처음 2년간은 위에 이야기 했던 대로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나중을 위한’ 노트를 했습니다.

그것도 처음에는 문장으로 정리했다가.. 몇달 후에 다시 보니, 눈에 전혀 안들어 오더라구요.. 그래서 그때부터는 훗날 다시 노트를 볼 때, 잘 이해되게 보기 좋게~ 간략하게, 단어 위주로~ 색깔도 다르게 해가며~ 노트 하는 데에 집중했습니다.

그런데 대략 2년을 하고 나니, 자연스레 깨달아 지는 것은 ‘하루에도 2-3페이지를 써서 총 1000페이지가 넘어가는데.. 이 노트들을 앞으로 몇번이나 볼 수 있을까..?, 2000페이지가 되고 5000페이지가 되면?? 아.. 못 보겠구나..’ 라는 것이었죠.

I’ve been taking notes for about 3 years now, and for the first 2 years I was taking “for later” notes, as I mentioned above, to look back on later.

I organized them into sentences at first, but when I looked at them again after a few months, they didn’t stand out at all. So from then on, I focused on making them look good when I looked at them again, so that they would be easy to understand – brief, word-oriented, with different colors.

But after about two years of doing this, I naturally realized that I was writing 2-3 pages a day, totaling over 1000 pages… How many times will I be able to look at these notes in the future…, when it gets to 2000 pages, when it gets to 5000 pages, when it gets to… Oh no. I can’t do that. It was like.

4/ 독서 노트의 한계

독서도 비슷한 과정을 겪었습니다. 책을 몇권 안 읽었을 때는 책을 한 권.. 한 권.. 머리 속에 그 내용이 다~ 저장되는 줄 알았어요. 그래서 내가 집중력이 없고, 정리가 안되어서 지금은 이렇지만… 레벨이 높아지면 책 하나하나 읽을 때마다 영원히 저장 되는건줄 알았죠.
게다가 몇 권을 읽더라도 서,너주 지나면 싹~ 다 까먹는게 너무 아까웠기도 했죠. 그래서 노트에 최대한 잘 정리해 놓았죠. 잘 정리해놓으면 훗날 그 글을 보면서 그 때 책을 읽고 난 후의 깨달음을 다시 되찾을 수 있을 것만 같았으니까요.

그런데 이 사실도 책을 100권 200권 읽다보니 자연스레 깨달아 지더라구요.
‘500권.. 1000권 읽었을 때도 가능할까? 아.. 불가능 하겠구나..’

I went through a similar process with my reading: when I hadn’t read a few books, I’d read one… one book. I thought it was all stored in my head, and that’s why I was unfocused, unorganized, and now I’m like this, but… When I leveled up, I thought that each book I read would be saved forever.
I also thought that no matter how many books I read, it would be too wasteful to forget them all after a while, so I organized them as best I could in my notes, because I thought that if I organized them well, I would be able to look at them later and regain the realization I had after reading them.

And I realized that after I read 100 or 200 books, it just kind of clicked.
“500 books. 1000 books? No. It’s impossible.

‘그럼, 어떻게 해야 하지??’
“So, what should I do?

5/ 무의식

우리 뇌는 의식의 영역과 무의식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중 우리 삶의 95%는 무의식의 영역에 의해 작동한다고 해요. 그래서 어찌보면 ‘무의식의 내’가 진짜 내가 될 수 있는거죠. 그래서 우리는 진짜 나, 무의식의 영역을 잘 관리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의식의 내’가 결국 내 인생을 채워가고, 내 미래를 만들테니까 말이죠.

그 무의식 영역에 좋은 행동과 좋은 생각으로 채워넣으면 당연히 그 사람의 삶의 95%는 좋은 행동과 좋은 생각으로 채워진다는 말 일테니.. 우리도 늦지않게 지금부터라도 무의식 안에 좋은 행동과 생각을 넣어야 할테죠. 부자 마인드 류의 것들, 긍정적인 태도, 독서의 습관 등을 내 무의식의 영역에 넣고, 그것들이 내 인생을 채우면 나는 더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으니까 말이죠.

그런데.. 이 무의식의 영역은 쉽게 들락날락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예요. 이 무의식의 영역으로 행동과 생각이 들어가려면 같은 행동과 생각을 긴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해야 한다고 합니다. 흔히 습관이라고 불리는 것들이죠. 그래서 단 한번의 행동, 단 하루의 루틴, 단 한번의 선행, 단 한번의 깨달음으로 한 사람 인생을 바꾸기란 불가능 한거죠.

쉽게말해, 긴 시간 동안 많이 반복 지속해야 그 사람(무의식)이 바뀐다는 겁니다.

노트도 독서도 이 방식으로 접근 해야 합니다.. 긴 시간 동안 많이 쓰고, 읽고 하면 그게 내 무의식 속에 쌓여서 현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며 행동이 바뀌면서 나라는 사람이 변하는거지.. 내가 쓴 하나의 노트가, 글이, 책이 인생을 바꿔주는건 없다는 겁니다. ‘내 인생을 바꿔준 단 1권의 책’.. 따윈 있을 수 없다는 거죠.

Our brain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and 95% of our lives are run by the unconscious, so in a way, the unconscious you can be the real you. So it’s important to take care of the real you, the unconscious you, because it’s what will eventually fill your life and create your future.

If you fill that unconscious area with good behavior and good thoughts, then of course 95% of your life will be filled with good behavior and good thoughts. We should start putting good behaviors and thoughts into our unconscious minds sooner rather than later, because if I put wealth mindset stuff, positive attitudes, reading habits, etc. into my unconscious mind, and they fill my life, I’m going to have a more successful life.

However, the unconscious mind isn’t something that you can just dip in and out of, it takes a lot of repetition of the same behaviors and though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get them into the unconscious mind, which is why it’s impossible to change a person’s life with a single action, a single day’s routine, a single good deed, or a single epiphany.

In other words, it takes a lot of repeti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change the person (unconscious mind).

This is how you should approach your notes and reading. If I write and read a lot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accumulates in my subconscious and I become wiser and wiser and my behavior changes and I change as a person. There’s no one note, article, or book that changes your life. There’s no “one book that changed my life”.

6/ 역치점 이상의 자극

그렇다고 어짜피 긴시간 동안 해야 한다고 이지하게 흐지부지 접근하면 어떤 발전도 없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지난 트윗글에도 썼었는데 내용을 가져 와보자면..
But if you take a casual approach that you’re going to do it for a long time anyway, you’re not going to make any progress. I wrote about this in my last tweet, but to paraphrase…

무언가를 배울때, 실력을 빨리 늘리는 방법 중 하나는 역치점 이상의 자극을 반복 지속하는 것이다.

When learning something, one of the ways to improve quickly is to repeat stimuli above your threshold.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 1번 화살표 지점이 역치점이라고 했을때, 하늘색 2번 구간에 머물기를 계속 반복을 지속하면 역치는 점점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과거에는 그토록 힘들었던 지점이 훗날엔 아무것도 아닌 지점이 된다.

이는 역치점 이상의 자극이 근력을 만들어 준다고.. 운동할 때 많이 듣곤 하는데 이는 운동 뿐 아니라 삶의 많은 곳에 적용이 된다. 학창시절 공부를 할때, 집중 몰입하는 시간을 점점 길게 가져가야지 피날레 고3공부를 감당할 수 있으며.. 어른이 됨에 따라 신경쓸 것이 많아지고,책임도 많아지는데.. 어른이 되기전에 적당히 스트레스도 받고 해소해가며.. 사회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스트레스 역치점을 점점 늘려가야 하는것도..투자를 할 때도 장투도 해봐야 장투를 할 수 있는 것도..인생의 수많은 것들이 위의 원리로 접근이 가능하다.

In the image below, the blue arrow point 1 is the threshold, and if you continue to stay in the light blue zone 2, the threshold will move further and further to the right until… The point that was so hard in the past becomes nothing in the future.

We often hear that stimulation beyond the threshold builds strength… but this applies to many things in life, not just exercise. When you’re studying in school, you need to be able to focus for longer and longer periods of time to be able to handle your finals, and as you get older, you have more to worry about, more responsibilities, and you need to be able to handle some stress before you become an adult. It’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you need to increase your socially acceptable stress threshold, and you can’t invest until you’ve done your homework… Many things in life can be approached with the above principles.

다시 이 그림으로 돌아와서.. 반대로.. 만약 긴 시간동안 저 역치점 이상의 자극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뭐 어떻게 되긴.. 퇴보하는거지.. 요새 어린 친구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어느 하나에 집중, 몰입 할 수 있는 시간이 점점 줄어드는듯 하다. 그런 그들을 위해 영상 길이는 짧아지고.. 사람들은 쇼츠에 열광하며, 모든 글에 요약 글은 어느새 필수가 되었다. 플랫폼들의 이런 친절함은 수많은 사람들을 바보로 만들었다. 컴퓨터가 되었건, 인터넷이 되었건, 스마트폰이 되었건, AI가 되었건 기술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편리하게 만들어 누군가를 기술의 수혜자로 만들고, 누군가는 그 기술의 피해자로 만들기 마련이다. 당신은 수혜자인가, 피해자인가

Now, back to this picture… Conversely. What happens if there’s no stimulus above that threshol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at happens? Regression. Nowadays, not only children, but also adults, seem to have less and less time to focus on any one thing. To accommodate them, videos are shorter, people are obsessed with shorts, and summaries have become a necessity in every article. This kindness of platforms has made a lot of people stupid. Whether it’s computers, the internet, smartphones, or AI, technology has made so much of our lives easier, making some of us beneficiaries and others victims. Are you a beneficiary or a victim?

7/ 몰입

그 경험의 깊이가 깊으면 깊을수록, 진하면 진할수록 빨리 배우도록 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얕으면 얕을수록, 연하면 연할수록, 역치점에서 많이 미달되면 될수록 그 경험은 기억에서 조차 사라질 가능성이 높겠죠.

그래서 노트를 할 때도, 독서를 할 때도.. 훗날을 도모하지 말고, 배수진을 쳐서 지금 이 순간, 내가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집중력을 끌어올려 몰입하여 그 지혜, 지식, 생각들을 흡수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훗날을 도모하는 순간 우리의 마음과 생각은.. 먼먼 훗날 과거를 추억하는 용도로 인식할겁니다. 이런 경험은 저만 겪은게 아닐테죠.

그렇게.. 노트를 하고, 책을 보고, 유튜브 영상을 볼 때도, 그리고 다른 이들의 인사이트 글을 읽을 때에도 ‘지금 흡수하지 못하면 내 것이 못 된다’는 마인드로 접근하여야 내 삶의 의미있는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겁니다.

The deeper the experience, the deeper it is, the richer it is, the faster we learn from it.
Conversely, the shallower the experience, the softer the experience, the more you’re below the threshold, the more likely it is that you’re not even going to remember it.

So when you’re taking notes, when you’re reading, you’re not looking forward, you’re looking backward, you’re looking to drain, you’re looking to soak up the wisdom, the knowledge, the thoughts, as much as you can, right now, in this moment, with as much concentration as you can. And when you’re looking backward, your mind and your heart… I’m sure I’m not the only one who has experienced this.

So. When you’re taking notes, reading books, watching YouTube videos, and reading other people’s insights, you need to approach it with the mindset of “if I can’t absorb it now, it’s not mine” in order to make meaningful changes in your life.

8/ 몰입과 지속

인생이라는 통에 더러운 구정물이 있습니다.
There’s some nasty stuff in the barrel called life.

그런데, 이 통의 구정물을 덜어내지 않고 깨끗한 물로 정화 시키는 가장 심플한 방법은
계속 깨끗한 물을 넣기를 반복 지속하는 것이죠.
However, the simplest way to purify this bucket with fresh water without scooping it out is to keep adding fresh water.
is to keep adding clean water.

이때, 새로 넣는 정화된 물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The more purified water you add, the more.

반복 지속하면 할수록..
The more you iterate…

더 빨리 깨끗해 지겠죠.
It will get cleaner faster.

그렇게 시간이 쌓이다가 보면 어느새 깨끗한 물로 바뀌어 있겠죠.
And before you know it, you’ve got clean water.

우리의 무의식도 이런식으로 바뀌는 겁니다. 즉, 몰입과 지속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This is how our subconscious mind works. It’s a process of immersion and persistence.

9/ 나 하나 꽃 피어

최근 ‘나 하나 꽃 피어’ 라는 노래를 너무 감동적으로 들었다.
이는 내가 여러모로 요새 고민하고 있는 부분을 만져주었기 때문인데..
일단, 이 노래 이전에 원작의 시가 있어서 시를 가져와 보았다.

I recently heard the song “나하나 꽃 피어” and it really touched me.
This is because it touched on something I’ve been struggling with lately in many ways.
First, there was an original poem before this song, so I pulled it up.

나 하나 꽃 피어
풀 밭이 달라지겠냐고 말하지 말아라
네가 꽃피고 내가 꽃피면
결국 풑밭이 온통 꽃밭이 되는 것 아니겠느냐
나 하나 물들어 산이 달라지겠냐고 말하지 말아라
내가 물들고 너도 물들면 결국 온 산이 활활 타오른 것 아니겠느냐

-조동화 ‘나 하나 꽃 피어’ –

그렇다. 이 노래와 시는
자기 확신이 있는 꽃(사람)이
‘나하나 꽃피고 물들어도 풀밭(세상)이 바뀌겠냐’ 라고 생각하는, 세상의 많은 불확실함 속에 처한 꽃(사람)들에게 같이 꽃 피우자. 라고 하는 이야기인데..

세상(풀밭)과 사람(꽃)구도도 너무 감동적이고 좋았지만..
문득, 내 인생(풀밭)과 하루 하루 노력(꽃)의 구도로도 생각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나의 더 큰 감동 포인트가 되었다.
지난 글을 보면 알듯, 자기 확신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기도 하고
이따금, ‘나의 작은 행동 하나 하나가 내 인생을 바꿀 수 있을까..’ 라는 의문과 의심이 한번씩 찾아오곤 하는데, 그런 나를 위안 해주는 듯한 노래였던 것이다.

그렇다. 나(들판)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은 꽃을 하나하나 피우는 일이다.

Yes, it is. This song and poem is about A flower (person) with self-assurance “Let’s bloom together to the flowers (people) who are facing many uncertainties in the world, who think, ‘Even if I bloom and color, will the grass (world) change? It’s a story that says.

The composition of the world (grass) and people (flowers) was very touching and good, but…
Suddenly, I started to think about my life (grass) and my daily efforts (flowers), and that became my bigger touching point.
Every now and then, I would wonder and doubt, “Can my small actions change my life? Sometimes, I would have doubts and questions, and this song seemed to comfort me.

Yes, it can. The way I can change myself (the field) is to bloom one flower at a time.

“몰입과 지속”에 대한 10개의 생각

  1. 긴시간 동안 반복해야한다는 건 그만큼 일상생활에서 스스로를 내가 원하는 곳에 노출시켜야 되는 것 같습니다ㅎㅎ 책 한권, 어느 하나의 순간이 인생을 드라마틱하게 바꾸는 게 아니라는 것에 동감입니다 ㅎㅎ 그래서 전 스스로 절여지게끔 아침에 눈뜨고 눈감기 전 목표를 읽으며 하루의 방향, 마음을 잡고, 차를 타고 이동하거나 걸을 때나 유산소운동을 할 때나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 오디오북, 유튜브등에 저를 노출시키고.. 그리고 틈틈이 스마트폰이나 노트에 떠오르는 생각들 메모도 하고 독서도 계속 하다보니… 뭔가 조금씩 변화를 느끼고 있습니다
    독서가 요즘은 저한테는 학창시절 시험기간에 짬내서 하는 게임처럼, 너무 재밌고 매일 책 펼칠때마다 기대됩니다. 또 어떤 걸 알게 되고 어떤걸 실행하게 될 지! 뭐 그런 기대감에…ㅎ 여튼 독서와 노트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해주시는 게 넘 와닿네요 ㅎㅎ 독서하고 모든 생각을 기록하고, 가끔 자리에 눌러 앉아 혼자 글로 표현하다보면, 여태 보고 듣고 읽었던 각자 다른 정보라 생각했던 게 하나로 연결되는 순간들이 있는데 특히 요즘 그걸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댓글달다보니 넘 길어져서 민망하네요 ㅋㅋㅋㅋ 어쨌든 너무 공감되는 글입니다!! 처음엔 코인하다보니 고로치님을 알고 코인에 대한 깊이에 감탄하면서 접하게 되었지만… 지금도 투자에 대한 생각들도 잘 보고 있지만, 사실 그런 것보다 전 이런 생각에 더 관심이 가게 되네요 ㅎㅎ 오늘도 좋은 생각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1. ㅎㅎ 더 길게 쓰신 분도 있으니 너무 민망해 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ㅎ 코인 공부를 조금 깊게 했더니 투자 공부가 되고, 투자 공부를 넘어 인생 공부를 하고 있네요ㅎㅎ 다 같은 맥락속에 있는거 같습니다^^

  2. 코인 투자 6년차에 소규모 커뮤니티도 함께 운영하며 “같이투자” 관점에서 ㅎㅎ~저 또한 단순히 코인 투자로 수익 목적 뿐 아니라, 깊이을 더하기 위해 각 종 사회과학서적(주로 행동심리학 위주), 경제저널들 나아가 세계사, 역사 등을 공부하며 사고를 확장하고 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게 필요하더라구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3. 이게 진짜 통섭의 사고가 아닌가 싶습니다. 고로치님의 생각의 깊이에 항상 감탄하고, 저 또한 많이 반성하고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